본문 바로가기

책 이야기/인문

딱딱한 철학책은 가라 (1) - 황광우의 철학콘서트!


황광우<철학콘서트>웅진지식하우스.   (교양철학, 2009.05.03. ~ 2009.05.25.)

자연과학은 20대에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인문학은 인생의 깊이만큼만 이해된다. 21세기의 현대인이 여전히 플라톤과 공자로부터 인문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 『철학콘서트』中, p. 15.


철학 + 콘서트??? 

어렸을 적 서점에서 지금은 베스트셀러가 되어버린 정재승의 <과학콘서트>라는 책을 본 적이 있었다. 과학에 콘서트라... 어떤 내용이길래 '콘서트'라는 표현을 썼을까 싶어 (그 때까지만해도) 과학에 흥미를 가졌던 소년의 마음이 시키는대로 책을 냉큼 집어 그 날로 다 봤던 기억이 난다. 아마도 이런 의도였을까? 대중에게 조금 더 다가갈 수 있는 과학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이들이 찾는 '콘서트' 라는 표현을 쓴 것인지, 과학 전반에 걸쳐 다양한 내용을 재미있게 풀어내었기 때문에 그런건지 아직도 정확히는 모르겠다.

10년 가까이 지나서 내가 읽은 책 중에 '콘서트'가 하나 더 늘었다. 다름아닌 <철학콘서트>. 10년 전에 호기심으로 <과학콘서트>를 집었듯이, 이제는 철학과 인문학에 호기심을 가진 청년이 되어 혹해서 집었던 것 같다. 그럼 이 책은 어떤 책이길래...?


넓다! 

콘서트는 항상 다양한 기대를 가지게 하기 마련이다. 사진은 베토벤 바이러스.


콘서트에는 다들 가보셨는지? 가수들은 콘서트를 위해 엄청나게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를 한다. 앨범으로 나온 노래들도 불러야 할 뿐 아니라 가끔씩은 그 노래들을 다른 버전으로 리메이크해서 부르기도 하고, 다른 가수들의 노래도 부르는 경우도 있으니 말이다. 어디 그 뿐만이랴. 마술에 연극에 영상편지까지... 정말로 많은 컨텐츠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과감히 콘서트라는 제목을 붙였듯, 이 책의 큰 자랑거리는 역시 넓은 범위의 내용이다. 윤리 책에서 다루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등의 서양철학 기초에서부터 경제학에서나 다룰 법한 애덤 스미스, 카를 마르크스 까지 한 책에서 다룬 적이 얼마나 있을까. 또한 예수같이 '성인'으로 인식되어 쉽게 '철학자'로 인식이 되지 않는 분들까지 '넓은 범위의 철학'으로 다루고 있다.


유쾌, 상쾌. 그리고... 통쾌?

'철학책'-이라는 단어를 보면 무슨 생각들을 하시는지? 내가 가지던 선입견을 예로 들어보자. 도-저히 안 되겠어서 때려친 -_-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알 수 없는 용어정리에서부터 시작해서 딱딱한 논리전개에 이르기까지, 철학책은 어렵다는 생각을 받았다. 비단 칸트 뿐만은 아닐 것이다. 철학이라는 것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용어를 정의하고, 계속 사용해야 할 뿐 아니라 감성보다는 논리적으로 전달해야 하기에 대부분의 철학책은 그럴 것이라고 믿는다.

임마누엘 칸트. 그의 '순수이성비판'은 내가 철학 공부를 때려친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 책이 주목받는 큰 특징은 부드러운 문체다. 철학책에서 구어체가 자연스레 활용된 예는 많이 볼 수 없다. 친구와 대화를 하는 듯한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철학자의 생각을 전달하기에 더욱 이해가 잘 된달까. 물론 철학자들이 내는 철학책과 그 철학에 대한 해설서에 큰 차이가 있음은 당연하다. 그럼에도 이렇게 부드럽게 설명하는 책은 해설서를 포함한 대부분의 철학 서적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부드러운 것은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그에 반하는 단점도 있긴 하다. 신랄하게 비판하는 서적이 아니고 현자들의 사상에 대한 객관적 판단을 유보하는 서적이다 보니, 통쾌한 맛이 없달까. 사실 이는 각각의 철학을 독자가 따져 물을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는 것이지만, 어찌보면 맵지도 달지도 않은 떡볶이를 먹는 듯한 밍밍한 느낌을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그렇게 내버려뒀으면 단점이 더욱 부각될 수도 있었던 것을 저자는 화두를 던지면서 극복하고 있다.

그래서 루소와 노자를 비교하면서 서양인과 동양인의 생각하는 방식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게 해주고, 소크라테스가 무지를 가르치되 앎을 주지 않는 것이 보통 사람들을 얼마나 당황스럽게 만드는지 혹은 얼마나 자유롭게 하는지를 스스로 따져 묻게 한다.
- 추천의 글 中, p. 8.

이러한 아이디어가 화두가 되어 독자가 철학에 대한 생각을 더욱 깊게 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야말로 저자의 뛰어난 능력은 아닐지.


누구를 위한 책인가 

누군가 이 책을 두고 신랄하게 비평한 걸 본 적이 있다. 너무 쉽게 쓴 것 아니냐고. '고작' 청소년을 위한 교양서 정도가 될 것 같은데 이름은 거창하게 철학 '콘서트'라고 붙인거 아니냐는 식에 비판을 보면서 할 말을 잃었다. 얼마나 잘난 사람이기에 그런 말을 할 수 있었을까. 모든 이가 자신의 상식을 가지고 있다는 식의 얘기를 보면서 한숨을 내쉴 수밖에. 과연 자신은 처음부터 높은 수준의 철학을 할 수 있었는지?

물론 이 책은 청소년의 교양서적으로 쓰이기에 안성맞춤이다. 그러나 철학을 처음 공부하려는, 처음 훈련하려는 사람에게도 쓰이기 좋다. 조금 과격한 말을 하자면 고등학교 때 윤리 공부 제법 안 한 분들에게도 딱 좋다고 하겠다. 그만큼 기초에 튼실한, 기초에 튼실하기에 가치를 인정 받을 책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을 쓰면서 이리저리 찾아보다보니 이 책의 2권이 나왔다는 소식이 있었다(제법 된 것 같기도 하지만...). 2권도 기대를 하게 만든다. 내용이나 목차를 살펴보진 않았지만, (우리의 분류와 인식에 의하면)철학의 근간에 충실한 1권에 비하면 조금 더 발전된 철학, 복잡한 철학을 다루지 않을까 싶다. 쉽게 철학을 대중에게! 라는 모토가 잘 지켜지길 빌면서 2권을 구입해야겠다.